본문 바로가기
NEWS 뉴스

이의 없는 채권양도 승낙의 효과

by 홍반장 2007. 4. 15.

1. 건물주인A와 세입자B는 전세계약을 체결하고 전세금 230백만원에 대해 97. 1. 21. 전세권 설정등기를 하였습니다. 97. 1. 24. 세입자 B의 대출취급(230백만원)시 위 전세권설정분에 대해 담보제공키로 하고, 전세권부 채권양도계약서 작성하여 공증사무실에서 사서인증을 득하였으며, 이 때 건물주인 A가 채권양도, 양수를 승낙하고 인감증명서를 첨부하여 사서인증 서류에 승낙의 의사표시를 하였으며 전세권 등기필증은 당 금고에서 보관중입니다. 채무자A는 부도로 당 금고에서 건물소유자A에게 전세금의 반환요청을 하자 건물주인A는 세입자B에게 돈을 빌려주고 못받은 돈이 있고, 월 관리비도 연체중이라 전세금을 반환할 금액이 없다고 하며 전세금 반환을 거절하고 있습니다. 당 금고에서는 우선 전세권의 해지를 방지코져 처분금지 가처분을 하고 건물에 방문결과 세입자B는 건물을 비우고 행불상태이며, 동 전세권에 대해 타 채권자의 가압류가 있고 동 건물은 소유자가 A에서 C명의로 매매가 되어 소유권 이전된 상태입니다.
 
1. 건물주인 A가 세입자 겸 채무자인 B에게 빌려준 돈과 건물관리비 연체액을 가지고 채권양수인인 당 금고에게 대항할 수 있는지 여부 2. 사서인증을 받은 전세권부 채권양도계약서에 의하여 동 건물에 대한 경매를 신청하여 독점적 만족을 구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답】
 
1.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아니하고 채권양도의 승락을 한 때에는 양도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사유로써 양수인에게 대항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아무런 조건없이 양도를 승낙한 경우에는 채무자가 양도인에게 대여금 채권이 있다든가, 월 관리비가 연체되고 있다든가 하는 사유로써 양수인에 대한 지급을 거절할 수 없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판례도 「채무자는 채권양도를 승락한 후에 취득한 양도인에 대한 채권으로써 양수인에 대하여 상계로써 대항하지 못한다」라고 하고 있습니다(1984. 9. 11 선고 83다카 2288).
 
2. 전세보증금반환청구권이 양도된 후 전세권 부채권가압류의 부기등기가 경료된 경우 가압류는 무효입니다
(1999. 2. 5. 선고 97다 33997).
 
3. 전세권부채권양도계약서를 가지고 전세권이 설정된 건물에 대하여 임의경매를 실시할 수 있는가라는 질의의 대하여 결론적으로 말하면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전세권부채권양도는 전세권의 양도가 아니라 전세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반환받을 전세보증금반환청구권의 양도로서 그 성질은 전세권에 의하여 담보되지 않는 무담보채권을 양도받는 것이 됩니다
(1997. 11. 25. 선고 97다 29790).
따라서 귀사는 구소유자에게만 전세보증금지급청구소송을 제기할 수 있을 뿐 현재의 소유자에게는 보증금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고 봅니다. 설정등기된 전세권 그 자체를 담보로 취득하는 방법은 전세권 자체를 이전받는 양도담보 또는 전세권에 근저당권을 설정하는 형태가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