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뉴스

수도권 추가 신도시 6월쯤 확정

by 홍반장 2007. 4. 14.
[2007-01-14] 자료원 : 머니투데이

 
수도권지역 추가신도시가 오는 6월까지 확정, 발표된다. 다만 추가신도시 규모는 당초 정부가 밝혀온 '분당급'(594만평)보다 다소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교통부는 14일 추가신도시 선정을 위해 다양한 후보지를 물색하고 있으며 관계부처간 협의후 늦어도 오는 6월까지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발 규모는 분당신도시보다 작은 400만평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건교부 관계자는 "애초 수도권 택지 추가공급 대상인 1500만평 가운데 400만평 가량이 확정되지 않았다"며 "무조건 규모를 맞추기보다 지역 상황과 개발여건을 감안해 확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건교부는 추가신도시 예정지 발표로 인해 집값 등 인근지역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 보완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이용섭 건교부 장관은 "개발예정지와 주변지역 투기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모든 법적·행정적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추가신도시의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과 투기과열지구 지정은 물론 주택·토지투기지역 지정, 건축 등 개발행위 제한 등의 투기방지 조치가 이뤄질 전망이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추가신도시 후보지는 수도권 남쪽의 경우 경기 용인 동부권과 광주지역, 오산, 이천, 시흥 등이며 동쪽은 하남과 남양주 별내·진접 등이다. 경기 북부쪽은 포천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용인 동부지역의 경우 모현면과 포곡면, 양지면, 역북동, 마평동, 백암면, 원삼면 등 미개발지역이 많아 유력 후보지로 꼽힌다. 다만 이들 지역은 자연보전권역으로 지정, 현재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되지 않아 대규모 택지개발이 허용되지 않는다.

때문에 수도권 남부권에서 유일하게 수질오염총량제가 시행되고 있는 광주지역 일대가 지정될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하남도 상당수 토지가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에 묶여 있어 이를 해결하는 문제가 최대 현안이다. 경기 북부 역시 이미 318만평 규모의 양주신도시(옥정·회천)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데다, 전반적으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한편, 건교부는 주택공급 물량 확대를 위해 추가신도시도 현재 추진하고 있는 기존 신도시와 비슷한 규모의 용적률과 녹지율을 적용할 방침이다. 현재 송파·검단·광교·파주·김포·양주 등 수도권 6개 신도시의 경우 평균 용적률 190%와 녹지율 27.2%를 적용하고 있다.

문성일기자 ssamdda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