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특별개발' 중… 76곳에 혁신·기업·행정도시 등 문패 ![](http://m1.freeshare.us/134fs558539.jpg)
![](http://m1.freeshare.us/134fs558539.jpg)
국가 균형발전이란 명분 아래 정부 주도의 대규모 개발사업이 전국 곳곳에서 본격화하고 있다. 전국 246개 시.군.구(제주특별자치도 제외)의 30%에 이르는 76개 시.군.구가 정부의 각종 특별개발지구로 지정됐다. 정부가 강남 집값을 잡겠다면서 한편으론 각종 개발사업을 벌여 지방의 땅값 상승을 부추기는 상황이다. 건설교통부는 4일 강원도 고성과 전남 장성, 경북 울릉군을 개발촉진지구 시범 지방자치단체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 지역 개발을 위해 500억원까지 예산을 지원하고 각종 조세감면 혜택을 줄 계획이다. 1996년부터 시작된 이 제도에 따라 현재 촉진지구로 지정된 시.군만 전국 30여 곳에 이른다. 정부가 주도하는 개발지구는 개발촉진지구 외에도 다양하다. 중앙부처가 이전할 행정중심복합도시가 충남 연기.공주에, 각종 공공기관이 이전할 혁신도시가 10개 지역에 건설된다. 또 전북 무주 등 6곳에는 기업도시가 들어선다. 2기 수도권 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판교.화성.김포.파주.양주에 2011년까지 주거단지가 단계적으로 지어지며, 지방에서는 대전과 아산에 신도시가 건설된다. 이 같은 각종 개발지구는 76개 시.군.구에 걸쳐 있다. 개발지구로 지정된 곳의 땅값은 급상승했다. 노무현 정부 출범 직전인 2003년 1월부터 올 5월까지 행정도시 예정지인 충남 연기군의 땅값은 72% 올랐다. 공주시의 땅값도 40% 상승했다. 같은 기간 신도시를 비롯해 행정.혁신.기업 도시가 건설되는 33개 지역의 땅값 상승률은 평균 53%로 전국 평균상승률(15.4%)의 세 배가 넘는다.
|
-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