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뉴스

미분양 아파트 증가…건설업체 ‘죽겠네’

by 홍반장 2007. 4. 14.
[2007.01.15 14:25]

 
 
대구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지난해 말 8000가구를 넘어선 가운데 1·11 부동산 대책 발표에 따른 민간아파트에 대한 원가공개와 분양가 상한제 실시로 수익률이 악화가 예상되면서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14일 대구시에 따르면 2006년말 대구지역 미분양 아파트는 총 8732가구로 지난해 11월말 7987가구 보다 745가구(9%) 늘어났다. 이는 지난해 1월 3274가구 보다는 5458가구(166%) 급증한 것이다.

특히 대규모 물량이 쏟아진 수성구는 미분양사태가 두드러져 당분간 미분양이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현황을 보면 달서구 3137가구(35.9%), 수성구 2729가구(31.2%)로 2개 지역의 미분양 물량이 대구 전체 미분양 물량의 67%를 차지하고 있으며, 달성군은 1064가구(12%), 동구 742가구(8.4%), 북구 503가구(5.7%), 남구 298가구(3.4%), 서구 145가구(1.6%), 중구 114가구(1.3%) 등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규모별로는 33평형(전용면적 25.75평) 초과가 5427가구로 전체 미분양 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25평형(전용면적 18.18평)초과 33평형 이하가 3198가구, 25평형 이하가 107가구로 집계돼 중대형 아파트의 분양 전망은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한편 올해 대구지역에서 3만7000여가구의 아파트가 신규 분양될 예정이어서 앞으로 분양시장은 어려움이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건설업이 대구경제에서 차지하는 기여도가 높아 자재 생산 및 노무인력 고용 등과 연관된 종합산업으로, 주택시장이 침체될 경우 관련 산업이 함께 침체되고 지역경제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면서 “분양가 원가공개로 수익률이 악화돼 미분양 물량의 증가로 당분간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돼 지방 건설경기 침체를 가속화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지우C&D 성지우 대표는 “1·11대책에 따라 올 하반기에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가격 하락을 기대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분양시장은 심각한 불황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이다”고 전망했다.

/대구=kjbae@fnnews.com 배기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