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의원·법조인 '재테크=부동산'
|
|
하늘이 두쪽나도 부동산만은 잡겠다"고 참여정부는 강조하고 있으나 행정부의 고위공직자와 국회의원들, 법조인들의 재테크 1순위는 역시 '부동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부 고위공직자중 상위 10위권내 부자들은 대부분 서울 강남에 최소한 아파트나 상가건물 1채를 보유하고 있다. 또 행정부, 국회의원, 법조인들중 재산증액 상위그룹은 부동산 상속이나 부동산투자 덕분이었다. '재테크=부동산'이라는 정의가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 과정에서도 확인된 것이다.
특히 고위공직자와 의원들이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보유부동산을 신고했기 때문에 공시가격이 시가의 50~70%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재산은 신고가액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행정부 고위공직자중 상위 10위권내 부자들은 대부분 서울 강남에 최소한 아파트나 상가건물 1채를 보유하고 있다. 또 행정부, 국회의원, 법조인들중 재산증액 상위그룹은 부동산 상속이나 부동산투자 덕분이었다. '재테크=부동산'이라는 정의가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 과정에서도 확인된 것이다.
특히 고위공직자와 의원들이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보유부동산을 신고했기 때문에 공시가격이 시가의 50~70%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의 재산은 신고가액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28일 공개된 행정부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내역에 따르면 재산증가액 상위 10명중 6명이 부동산 매각이나 부동산 상속 등으로 재산이 늘었다고 신고했다. 재산 늘리는데는 부동산 만한게 없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된 것.
재산증가 3위를 기록한 김종갑 특허청장은 배우자의 부동산 상속으로만 14억원이 증가했고, 오무영 함경북도지사는 상가건물 매각으로 16억원을 벌어 재산증가 4위를 기록했다. 외교통상부 한태규 본부대사는 매도한 아파트의 가액과 실매도액의 차이 및 상속 등으로 재산이 6억5945만원 증가했고, 노동부 신홍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도 오피스텔 매도 등으로 재산이 6억821만원 늘어났다.
고위공직자중 최고의 재력가인 신철식 기획예산처 정책홍보관리실장은 본인 명의로 경기 양평균 일대에 46억6000만원 상당의 임야와 대지, 본인과 부인 명의로 강남과 용산구에 아파트를 각각 1채씩 보유하고 있다. 신 실장이 신고한 재산은 총 186억1721만원. 신 실장은 모든 재산은 부친인 신현확 전 총리와 모친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재산총액 상위 10위를 기록한 재경부 유재한 금융정보분석원장은 부인의 상속재산으로 재산이 늘어난 경우다. 부인이 지난 1998년 경기도 성남시 판교 근처 토지를 상속받았는데 이중 2/3가 수용되면서 재산이 크게 늘었다. 이때 수용된 토지는 현금화시켜 부인 명의의 예금으로 24억1922만원을 갖고 있다. 유 원장은 또 서초구 방배동에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4억3400만원짜리 아파트를 각각 1채씩 보유하고 있고 본인 명의로 일산에 2억5230만원, 여의도에 4084만원 상당의 상가를 갖고 있다.
의원들도 부동산을 여전히 중요한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종합부동산세 시행에 따라 강북의 아파트를 팔고 강남의 아파트를 보유하는 '선택과 집중'의 부동산 거래를 하기도 했다. 3채의 아파트를 보유했던 한나라당 이성구 의원은 성동구의 아파를 1채는 매도하고, 대치동의 아파트는 장남에게 증여한 뒤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 1채만 보유하게 됐다고 신고했다.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을 맡고 있는 강봉균 의원의 경우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배우자가 지난해 10월 분당 궁내동의 단독주택을 5억9000만원에 추가로 구입했다. 같은당 이상경 의원의 배우자는 강남구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둔촌동 아파트를 4억5000만원에 추가로 구입했다. 한나라당 김덕룡 의원의 경우 거주용으로 보유하고 있던 5억7000만원짜리 아파트가 재건축되면서 18억9000만원의 대형 평형을 배정받았다.
법조인의 경우도 재산증액 상위그룹의 대부분이 부동산 투자 덕분이었다. 고위법관 재산증가 순위 10위권중 7명이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큰 돈을 벌었으며, 11~20위 중에서도 6명이 부동산으로 돈을 벌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윤영철 소장이 아파트 매도가와 신고 당시 기준시가 사이의 차액으로 6억10000만원이 늘었고 송인준 재판관은 토지수용 보상금 등으로 2억3000여만원을 벌었다.
검찰에서도 부친 사망후 아파트를 상속한 김상봉 제주지검장과 장인에게 임야를 증여받은 차동민 대검 기조부장, 아파트 매도차익을 얻은 홍경식 법무연수원장과 이훈규 대전지검장 등이 재산증가 상위권에 들어갔다.
재산증가 3위를 기록한 김종갑 특허청장은 배우자의 부동산 상속으로만 14억원이 증가했고, 오무영 함경북도지사는 상가건물 매각으로 16억원을 벌어 재산증가 4위를 기록했다. 외교통상부 한태규 본부대사는 매도한 아파트의 가액과 실매도액의 차이 및 상속 등으로 재산이 6억5945만원 증가했고, 노동부 신홍 중앙노동위원회 위원장도 오피스텔 매도 등으로 재산이 6억821만원 늘어났다.
고위공직자중 최고의 재력가인 신철식 기획예산처 정책홍보관리실장은 본인 명의로 경기 양평균 일대에 46억6000만원 상당의 임야와 대지, 본인과 부인 명의로 강남과 용산구에 아파트를 각각 1채씩 보유하고 있다. 신 실장이 신고한 재산은 총 186억1721만원. 신 실장은 모든 재산은 부친인 신현확 전 총리와 모친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재산총액 상위 10위를 기록한 재경부 유재한 금융정보분석원장은 부인의 상속재산으로 재산이 늘어난 경우다. 부인이 지난 1998년 경기도 성남시 판교 근처 토지를 상속받았는데 이중 2/3가 수용되면서 재산이 크게 늘었다. 이때 수용된 토지는 현금화시켜 부인 명의의 예금으로 24억1922만원을 갖고 있다. 유 원장은 또 서초구 방배동에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4억3400만원짜리 아파트를 각각 1채씩 보유하고 있고 본인 명의로 일산에 2억5230만원, 여의도에 4084만원 상당의 상가를 갖고 있다.
의원들도 부동산을 여전히 중요한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의원들은 종합부동산세 시행에 따라 강북의 아파트를 팔고 강남의 아파트를 보유하는 '선택과 집중'의 부동산 거래를 하기도 했다. 3채의 아파트를 보유했던 한나라당 이성구 의원은 성동구의 아파를 1채는 매도하고, 대치동의 아파트는 장남에게 증여한 뒤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 1채만 보유하게 됐다고 신고했다.
열린우리당 정책위의장을 맡고 있는 강봉균 의원의 경우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배우자가 지난해 10월 분당 궁내동의 단독주택을 5억9000만원에 추가로 구입했다. 같은당 이상경 의원의 배우자는 강남구에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 상태에서 둔촌동 아파트를 4억5000만원에 추가로 구입했다. 한나라당 김덕룡 의원의 경우 거주용으로 보유하고 있던 5억7000만원짜리 아파트가 재건축되면서 18억9000만원의 대형 평형을 배정받았다.
법조인의 경우도 재산증액 상위그룹의 대부분이 부동산 투자 덕분이었다. 고위법관 재산증가 순위 10위권중 7명이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큰 돈을 벌었으며, 11~20위 중에서도 6명이 부동산으로 돈을 벌었다.
헌법재판소에서는 윤영철 소장이 아파트 매도가와 신고 당시 기준시가 사이의 차액으로 6억10000만원이 늘었고 송인준 재판관은 토지수용 보상금 등으로 2억3000여만원을 벌었다.
검찰에서도 부친 사망후 아파트를 상속한 김상봉 제주지검장과 장인에게 임야를 증여받은 차동민 대검 기조부장, 아파트 매도차익을 얻은 홍경식 법무연수원장과 이훈규 대전지검장 등이 재산증가 상위권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