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9] | • 자료원 : 문화일보 |
서울의 서민들은 지난해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아파트값 때문에크게 고통을 받았다. 웬만한 돈으로는 서울 시내에서 아파트를구입할 엄두를 내지 못하게 되자 집마련을 포기하겠다는 젊은이들이 속출하는 등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한 사회적 출혈은 어느 해보다 심했다.
서울시의 주택공급 정책의 양대 축은 뉴타운 개발과 임대주택 공급이다. 서울시는 무주택 시민의 주거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올해부터 6년 동안 임대주택 10만호를 새로 지어 서민들에게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관련 문홍성 서울시 주택기획과장은 “임대주택은 평형이작고 저소득층만 거주한다는 부정적인 인식을 바꾸기 위해 중산층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주택단지를 조성할 것”이라며“가족 수나 소득 수준에 맞게 고를 수 있도록 다양한 평형의 주택을 지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재개발 사업 임대주택은 18평 이하 소형을 주로 공급하되, 재개발 사업물량 중 1만4000호는 26평형(8000호)과 33평형(6000호)으로 신축한다.
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2·3차 뉴타운 지구 내에서 상태가 양호한다가구 주택을 연간 220개동씩 총 1300개동을 매입해 임대주택으로 활용하게 된다. 매입주택이 노후해 개발이 필요할 경우 국민임대주택단지로 건설한다. 이와 함께 임대주택 거주자의 출퇴근 불편 등을 해소하고자 도심 및 부도심의 역세권에도 소규모임대주택을 조성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노인을 위한 임대주택도 건립된다. 노인들이 생활하는 데 불편을덜도록 현재 건립하고 있는 상암2지구 등 10개 국민임대주택단지의 1~2층을 서울 시내에서 처음으로 노인전용으로 공급한다.
서울시 주거안정팀의 김민호씨는 “상암2지구 등 노인전용 임대주택은 노인들의 안전사고가 욕실과 계단 등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큼 ‘무장애 설계' 방식을 도입해 미끄럼 방지시설, 비상연락장치, 욕조 및 세면대 안전손잡이 등을 시공, 선진국 수준으로 꾸미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장기적으로 소유하는 대상이 아니라 거주하는 대상으로주택에 대한 개념을 바꾸기 위해 임대주택 재고량을 전체 주택의 10% 수준인 30만호까지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 한평수 pshan@munhwa.com 2007/01/19 16:09: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