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1.freeshare.us/134fs552462.gif) |
발전 단계 | 주요 내용 | 특 징 |
---|
제1기 (1960년대 이전)
| - 행정기능의 배분과 정비 및 체제확립을 위한 법령, 제도 운영결과로 신도시 출현 - 전후복구시기로 비계획적 시가지 확장형태 개발 -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의한 환지방식 위주 (진해,의정부,논산,대전 등) | 계획은 없었으나 자생적 신도시 출현 | 제2기 (1960년대)
| - 근대화 정책의 산물로 출현 - 공업화 및 경제개발정책의 본격가동과 더불어 현대적 의미의 신도시 최초건설 * 공업개발전진기지 : 울산, 포항 * 수출전진기지 : 마산 * 판자촌해소 : 성남 | 계획은 없었으나 계획도시 출현 | 제3기 (1970년대)
| - 제1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의한 계획적 신도시 개발시기 - 1960년대의 신도시모델, 인구분산 목적의 신도시, 지역간의 균형성장을 위한 신도시 정책이 동시에 추진된 혼합기 (대덕, 창원여천공업도시, 구미공단배후도시, 서울강남신시가지, 과천,안산 등) | 계획은 있었으나 계획도시가 출현하지 못함 | 제4기 (1980년대)
| -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의한 적극적 개발 시기 - 지역개발 수단으로 신도시를 개발함으로서 대도시 인구분산 시도 3개도시(대구,광주,대전) 핵화 12개 지역 생활중심도시를 2차 거점 도시화 - 서울시대 대규모 택지개발을 통한 도시내 신도시 개발 (개포,고덕,목동,상계) | 거점도시화시대 돌입 국토의 축-광역 개발 | 제5기 (1990년대)
| - 수도권 주택 공급확대, 부동산 투기 억제 - 서울의 인구분산을 목적으로 한 신도시 개발 (분당,일산,부천평촌,중동: 수도권5개신도시 제1기) - 대규모 신도시 일시개발에 대한 비판으로 소규모 택지개발과 준농림지 개발허용으로 정책방향 선회 - 무임승차에 의한 기반시설 부족 등 심각한 난개발 초래 | 국토의 균형발전 및 부동산투기 억제 | 제6기 (2000년대)
| - 과거신도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 전환 및 소규모 분산적 개발을 대체하는 ‘계획도시’개념의 신도시 건설 - 계획적 자족도시 건설 (화성동탄, 판교, 김포, 파주) | 자족기능 강화 |
|
![](http://m1.freeshare.us/134fs552513.gif) |
![](http://m1.freeshare.us/134fs552761.gif) |
구 분 | 분 당 | 일 산 | 평 촌 | 산 본 | 중 동 |
---|
위 치 | 성남시 | 고양시 | 안양시 | 군포시 | 부천시 | 면 적 (천평) | 5,729 | 4,758 | 1,497 | 1,645 | 1,267 | 수용 인구 (천명) | 390 | 276 | 168 | 169 | 170 | 주택 건설 (천호) | 97.5 | 69 | 42 | 42.5 | 42.5 | 사업 기간 | 89~96 | 90~95 | 89~98 | 89~95 | 90~96 | 사업 시행자 | 토지공사 | 토지공사 | 토지공사 | 주공 | 토공,주공 부천시 |
|
![](http://m1.freeshare.us/134fs552867.gif) |
![](http://m1.freeshare.us/134fs552970.gif) |
구 분 | 화성 동탄 | 판 교 | 김 포 | 파주 교하 | 수원 이의 |
---|
위 치 | 화성시 | 성남시 | 김포시 | 파주시 | 수원시 | 면 적 (천평) | 2,733 | 2,837 | 1,280평 | 2,746 | 3,369 | 수용 인구 (천명) | 121 | 89 | 60 | 132 | 60 | 주택 건설 (천호) | 40 | 29.7 | 20 | 47 | 20 | 사업 기간 | 01~07 | 03~09 | 05~10 | 03~09 | 04~2010 | 사업 시행자 | 토지공사 | 토공, 주공 경기도, 성남시 | 토지공사 | 파주시, 주공 | 경기도, 수원시 |
|
- 출처 : 한국토지공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