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뉴스

서울·수도권 전지역 분양원가공개 적용

by 홍반장 2007. 4. 14.
“서울·수도권 전지역 분양원가공개 적용”
[2007.01.10 20:54]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대부분 지역의 민간택지가 분양가 상한제에 이어 분양 원가공개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정은 수도권 투기과열 지구로 한정해 제한적으로 원가 공개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서울, 경기도에서 일부만 뺀 거의 전지역이 이미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상태이기 때문.

이에 따라 서울 성동구 성수동 뚝섬과 경기 성남 판교신도시에 적용되는 주상복합 등은 분양가 상한제에 이어 원가공개도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에 원가공개 철회를 요청했던 업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10일 건교부에 따르면 서울지역은 전 지역에 대해 지난 2002년 9월 이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돼 왔다. 신도시 개발이 예정된 경기도도 전지역이 4년째 투기과열지구다. 지난 2002년 9월 경기 고양시 대화·탄현동·풍동지구, 남양시 호평동, 화성시 동탄지구 등 일부에 국한됐던 투기과열지구는 같은해 11월에 경기 용인 동백시가 추가됐다. 그후 2003년 6월부터는 경기도 전지역이 투기과열지구에 포함됐다. 단 일부 자연보전권역, 도서지역 등은 빠졌다.

지난해 검단신도시 발표로 시장이 요동쳤던 인천지역은 지난 2002년 9월에 삼산1지구를 시작으로 투기과열지구가 확대됐다. 같은해 12월 송도신도시에 이어 지난 2003년 6월에 일부 도서지역을 제외한 전지역이 지정됐다.

민간택지 분양가 원개 공개에 대한 당정의 이 같은 방안에 업계는 “현실을 무시한 발상”이라고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업계 관계자는 “지방 분양시장은 극도로 침체되어 있고 그나마 사업이 되는 수도권은 상한제에 걸렸다”며 “앞으로 분양 사업할 일이 막막하다”고 전했다.

그나마 시장이 살아있는 수도권에서 이런 규제를 하면 분양 사업을 계속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업체 A사 관계자는 “집값이 떨어지고 미분양이 속출하는 지방에서만 사업을 하라는 것이냐”면서 “이는 분양사업을 포기하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당장 고가로 예정된 서울 성수동 뚝섬 주상복합 분양업체들은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서울 성수동 뚝섬에서 주상복합 분양을 계획 중인 한 업체는 “분양가 상한제에 이어 원가 공개까지 검토되고 있다니 여간 당혹스러운 것이 아니다”면서 “이미 상당한 자금이 투입된 상태여서 쉽게 사업을 접을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아직 구체적인 세부 사안이 나오지 않아 정책 방향을 예의 주시하면서 다각도로 대책을 강구 중”이라고 덧붙였다.

유엔알 박상언 사장은 “분양가 상한제에 이어 원가공개까지 추진되면 업체들이 이를 피해 분양을 앞당길 것”이라며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이 나빠져 민간택지내 주택 공급이 확연히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steel@fnnews.com 정영철기자